신재인

저는 작가이자 감독이자 창작 프로듀서로, 아티스트 및 인재 관계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룹니다. 창의적인 스토리텔링 및 공동체 형성을 통해 아티스트들을 지원하는데 큰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음악과 기술 분야 속 음성 및 영상 플랫폼 전반에 걸친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 제작, 연출, 실행에 있어 광범위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감과 사려가 저의 작업, 리더십, 그리고 존재를 형성하는 핵심 사항입니다.

경력 사항

아마존 음악 (Amazon Music)
시니어 창작 프로듀서 (Senior Creative Producer)
2018년 10월- 현재

팬들과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아티스트들을 위한 영상 및 음성 스토리텔링 형식을 확장하고 프리미엄 수준의 콘텐츠 제작을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아마존 뮤직의 창조성을 높였습니다.

  • 브랜드 채널의 성장에 기여하며, 아마존 뮤직의 첫 번째 힙합 (Hip Hop) 및 R&B 플레이리스트, 랩 (Rap) 및 R&B 로테이션 (Rotation) 출시를 지원하기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 시리즈와 관련하여 창의적인 개발, 실행, 제작을 이끌었습니다.

  • 사위티 (Saweetie), 베이비 테이트 (Baby Tate) 등과 같이 현재 스타의 반열에 오른 인재들과 처음부터 협력해 나가며 초기 투자 및 인재 발견에서 리더십을 보여주었습니다.

  • 더 많은 아티스트들과 소외된 목소리들을 들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변화를 주도하고 아마존 뮤직에 대한 인식과 브랜드를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서, AAPI 여성 아티스트들을 강조하고 있는 수상작 Message in the Music documentary film 를 구상하고 책임 제작하며 이끌어 나갔습니다.

  • 힙합 (Hip hop) 내 아마존 뮤직의 (Amazon Music) 트위치 (Twitch) 팔로워 성장과 통합에 기여하며, 주최자 웨이노(Wayno), 힙합 유명인이자 퀄리티 컨트롤(Quality Control label)의 A&R 부대표가 출연한 커넥티드 위드 웨이노 (Connected with Wayno) 라는 아마존 뮤직의 첫 재능 주도 트위치 쇼의 창의적 개발 및 제작을 이끌었습니다.

  • 향후 트위치 쇼를 위한 창의적인 개발 및 제작에 있어 팀의 자원이 된 첫 번째 아마존 뮤직 트위치 탤런트 쇼 플레이북을 구축하였습니다.

  • 생방송 분야에서 아마존 뮤직의 폭넓은 범위를 보여주기 위해 인재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제공하며, 문화 대작의 달들을 걸친 트위치 대화 중심 쇼를 위해 아티스트 예약을 주도하고 엄선하였습니다.

  • 커뮤니티 구축을 위해서 아티스트들과의 활동을 중심으로 리더십을 발휘하며 아티스트를 위한 패널, Q&A 세션, 영화 스크리닝 (screening) 을 주도하였습니다.

  • 원격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아티스트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들을 생성하며 팬데믹 기간 동안 핵심 콘텐츠 전략을 진두지휘하였습니다.

  • 추가 배포와 관련하여 유튜브 채널에 콘텐츠를 주최하기 위해 대중 매체 회사 88라이징 (88Rising)과 협력하고 아마존 생태계에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프라임 비디오와 협력하며, 루나 리 (Luna Li) 가 출연하는 Shapeshifter 단편 영화의 제작 책임자의 역할을 맡았습니다.

  • 여러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새로운 환경에서 콘텐츠 촬영을 운영 및 확장하며, 아마존 뮤직 스튜디오에서 최초의 콘텐츠 스튜디오 촬영을 위한 창의적인 제작 과정을 구축하였습니다.

  • 정신 건강, 패션 등에 있어 Young Adult (YA) 시청자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Art of Wellness”와 “Style Galore”과 같은 매력적인 영상 컨셉을 개념화하고 홍보하며 실행하였습니다.

  • 여유 없는 시간 속에서 촬영 제작을 진행하고 앱을 위한 매력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며, 샘 스미스 (Sam Smith) 와 함께 프리미엄 수준의 “비디오 스토리” (Video Stories) 홈페이지 컨텐츠를 처음으로 출시하였습니다.

  • 앱에서의 팬 참여와 콘텐츠 테스트에 있어 새로운 방식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청자 및 콘텐츠 마케팅, 그리고 제품 팀과 함께 협력하며, 그룹 트와이스와 (TWICE) 파트너십을 맺고 창의적인 영상 제작 및 연출에 관여하며 첫 번째 주요 케이팝 (K-Pop) 콘텐츠 협력을 총괄하였습니다.


스포티파이 (Spotify)
작가 (Writer)
February 2017-October 2018

  • 다큐멘터리 영상들 에서 팟캐스트 컨셉까지, 스포티파이 (Spotify) 의 대표적인 힙합 (hip hop) 플레이리스트이자 14MM 팔로워들을 보유한 플렛폼에서 두 번째로 큰 플레이리스트인, RapCaviar 위해 창의적인 논의 및 대본을 개념화하고 작성하며 홍보하였습니다.

  • 자료 분석 및 비교 연구를 통해 RapCaviar 아티스트 및 팔로워들에게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그에 맞춰 조정되는 영상 시리즈 컨셉을 전략화 하였습니다.

  • 영상 촬영을 위한 아티스트 환대에 도움을 주고 아티스트들을 인터뷰하며 아티스트들에게 영상 촬영 기회를 지원하여 아티스트 및 인재 관련 활동을 주도하였습니다. 창의적인 컨셉 및 인터뷰의 이야기에 맞게 조정된 영상을 제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작 후 과정에서 창작 프로듀서, 감독, 편집자와 협력하였습니다.

  • “Women@Spotify” 내부 직원 그룹을 대표하여 2018년 국제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LA에서 최고 음악 속 여성Women in Music 행사 음악 및 영화 속 여성 (Women in Music & Film)를 조직하였습니다.

사운드 클라우드 (SoundCloud)
Senior Artist Relations Manager
November 2011-September 2016

  • SoundCloud 제작자 및 아티스트들과의 관계를 구축하며 SoundCloud가 제작자들의 집이라는 명성을 갖게 하였습니다.

  • 독립 아티스트의 컨텐츠를 수익화하고 커리어를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SoundCloud의 최초의 수익 공유 서비스인 콘텐츠 파트너 프로그램 (Content Partner Program) 에 독립 아티스트들이 참여할 수 있게 주도하고 지지하였습니다.

  • SoundCloud 팀이 투명하고 진정성 있는 방식으로 제작자들에게 대해 알아가고 관계를 맺는 것을 목표로 SoundCloud 아티스트 포럼 (Artist Forum) 을 제작하였습니다.

  • 제작자들에게 목소리를 제공하고 자신의 브랜드들의 책무를 보여주며 SoundCloud 자체 채널을 통해 독립 아티스트들을 지속적으로 조명하였습니다.

  • SoundCloud의 2014 SXSW 뮤직 쇼케이스, SoundCloud Go 구독 출시 행사 등에 아티스트들이 설 수 있게 하며, 아티스트가 온라인 모멘텀을 확대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기회들을 마련하였습니다.

  • SoundCloud의 커뮤니티 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출품작 수인, 3일 동안 6400건 이상의 출품작을 받은 한스 짐머 (Hans Zimmer) 클래식 커뮤니티 대회를 이끌었습니다.

  • SoundCloud가 전 세계에서 5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을 때 SoundCloud 첫 미국 사무실(SF) 직원으로 합류하여 독특한 지사 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Education & Policy Diversity Resource 그룹의 창립 멤버가 되었습니다.

스파크아트 (Sparkart)
Account Manager
July 2010-November 2011

  • 웹 사이트 구축, 온라인 팬클럽, 전자 상거래 상점, 티켓팅 플렛폼들을 감독하며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 내 유명한 고객들과의 관계를 관리하였습니다.

  • 고객들은 랩 레이더 (Rap Radar), 더 킬러스 (The Killers), 반스 워프트 투어 (Vans Warped Tour), UFC(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UX 및 엔지니어링 팀이 고객들을 위한 웹사이트 출시와 디지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총괄하였습니다.

  • 뉴스레터 사본 준비에서 고객 웹사이트의 콘텐츠 게시까지, 웹을 기반으로 한 편집 요구사항들을 시행하였습니다.

  • 티켓팅, 웹사이트 마케팅, 전자 상거래 상점의 홍보를 관리하였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

포트폴리오 (Portfolio) 또는 링크드인 (LinkedIn) 를 방문해 주십시오.